본문 바로가기
ETF 이야기/해외투자 ETF

국내 미국 나스닥 100 ETF 8종 수수료, 수익율, 분배금 등 비교 분석

by 돌이아빠 2025. 2. 5.

Contents

    국내에 상장된 미국 대표 기술 지수인 나스닥 100 지수에 투자하는 ETF는 8종 정도입니다. 이외에도 TIMEFOLIO 의 액티브 ETF가 있지만 액티브 ETF의 경우 나스닥 100 지수에 투자한다기 보다 나스닥 100 지수를 비교 지수로 한 액티브 ETF 이므로 비교 대상에서는 제외 하였습니다.

    국내 상장된 미국 나스닥 100 지수 추종 ETF 8종 비교에 대한 내용은 이번 글이 세번째 글입니다. 혹시 이전 비교글이 궁금하신 분들은 다음글을 참고해 주세요.

    2024년 8월 이후 5개월 정도가 지난 시점이고 트럼프 행정부의 등장, 중국발 AI 경보 등 다양한 사건들이 있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나 중국발 AI 등은 아직 현재 진행형인 상황이긴 하지만 미국 대표 기술주 들의 동향은 어떠한지 살펴볼만한 시기라 생각됩니다.

    국내 미국 나스닥 100 ETF 8종 수수료, 수익율, 분배금 등 비교 분석
    국내 미국 나스닥 100 ETF 8종 수수료, 수익율, 분배금 등 비교 분석

    다만, 지수에 투자하는 ETF이고, 대부분 절세계좌에서 장기 투자하는 관점이므로 위기를 기회로 삼을 수 있는 용기도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도 지난 글들과 유사하게 8종의 기본 정보, 수수료, 수익율, 분배금 등에 대한 정보를 비교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8종 개요

    운용사, 상장일, 환헤지 여부 등 기본적인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ETF 종목코드 운용사 상장일 환헤지
    TIGER 미국나스닥100 133690 미래에셋자산운용 2010.10.15 X
    TIGER 미국나스닥100TR(H) 448300 미래에셋자산운용 2022.11.15 O
    KODEX 미국나스닥100 379810 삼성자산운용 2021.04.07 X
    KODEX 미국나스닥100(H) 449190 삼성자산운용 2022.11.30 O
    SOL 미국나스닥100 476030 신한자산운용 2024.03.08 X
    RISE 미국나스닥100 368590 KB자산운용 2020.11.04 X
    KIWOOM 미국나스닥100(H) 453080 키움투자자산운용 2023.03.10 O
    ACE 미국나스닥100 367380 한국투자신탁운용 2020.10.26 X

    KOSEF 미국나스닥100(H) ETF는 브랜드명을 KIWOOM 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위와 같이 총 8종의 나스닥 100 지수 추종 ETF가 상장되어 있고, TIGER 미국나스닥100 ETF가 2010년에 상장되어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합니다. 총 3종의 환헤지 ETF가 있고, 분배금을 지급하지 않고 재투자하는 ETF가 기존에는 2종이 있었으나 금융 당국의 제재 - 해외주식형 ETF 'TR 금지령' 과 KODEX 미국S&P500TR, KODEX 미국나스닥100TR ETF 운용사의 전략 - 로 KODEX 미국나스닥100TR ETF는 PR 형(매 분기 분배금 지급)으로 변경되었고, TIGER 미국나스닥100TR(H)는 아직 정책이 공지되지 않았지만 KODEX 미국나스닥100 처럼 분배금을 지급하는 PR형으로 변경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8종 수수료(실부담비용) 비교

    먼저 수수료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동일 지수를 추종하므로 수수료(실부담비용)은 실제 수익율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 S&P 500 지수 추종 ETF 나 나스닥 100 지수 추종 ETF 처럼 동일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경우 수수료(실부담비용)이 적을수록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ETF TER 실질부담비용 자산총액 거래량
    TIGER 미국나스닥100 0.1900% 0.2150% 47,630억 26만주
    TIGER 미국나스닥100TR(H) 0.2200% 0.2986% 2,393억 17만주
    KODEX 미국나스닥100 0.1100% 0.1852% 18,743억 111만주
    KODEX 미국나스닥100(H) 0.1300% 0.2359% 3,533억 29만주
    SOL 미국나스닥100 0.3900% 0.6057% 402억 7만주
    RISE 미국나스닥100 0.1300% 0.1863% 9,668억 37만주
    KIWOOM 미국나스닥100(H) 0.2000% 0.5074% 517억 9만주
    ACE 미국나스닥100 0.1600% 0.1927% 13,715억 54만주

    TER과 실질부담비용이 가장 낮은 ETF는 KODEX 미국나스닥100 ETF 로 TER 0.1100%, 실질부담비용 0.1852% 입니다. 다만, SOL 미국나스닥100 ETF, KIWOOM 미국나스닥100(H) ETF 를 제외하고 나머지 6종의 실질부담비용 차이는 크지 않습니다.

    총 3종의 환헤지 ETF가 있는데 환헤지를 위한 비용이 추가되는 관계로 다른 환노출 ETF 대비 실질부담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자산총액 측면에서는 상장한지 가장 오래된 TIGER 미국나스닥100 ETF가 4조 7천억원으로 가장 규모가 크고, 1조 8천억의 KODEX 미국나스닥100 ETF, 1조 3천억원의 ACE 미국나스닥100 ETF가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ETF 선택시에는 내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가격에 매매를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자산 총액이 클수록 유리한 구조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주당 가격이 너무 큰 경우 거래량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제 TIGER 미국나스닥100 ETF의 자산 총액은 다른 7종 대비 훨씬 크지만 주당 가격이 139,825(2025년 2월 2일 현재)원으로 KODEX 미국나스닥100 ETF의 21,000원(2025년 2월 2일 현재) 대비 거의 6배가 차이가 나고 있고 이는 거래량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살펴봤을 때 투자자 입장에서는 실질부담비용이 가장 낮고 거래량도 충분하면서 순 자산총액도 나쁘지 않은 KODEX 미국나스닥100 ETF가 가장 유리해 보입니다.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8종 분배금(배당) 정보

    다음은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8종의 배당 성향, 분배금 정보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ETF 연간분배율 최근분배금 배당성향
    TIGER 미국나스닥100 0.42% ₩70 분기 배당
    TIGER 미국나스닥100TR(H) - - -
    KODEX 미국나스닥100 - - -
    KODEX 미국나스닥100(H) 0.50% ₩23 분기 배당
    SOL 미국나스닥100 0.49% ₩25 분기 배당
    RISE 미국나스닥100 0.55% ₩38 분기 배당
    KIWOOM 미국나스닥100(H) - - -
    ACE 미국나스닥100 0.52% ₩35 분기 배당

    TIGER 미국나스닥100TR(H) ETF, KODEX 미국나스닥100 ETF, KIWOOM 미국나스닥100(H) ETF 3종은 분배금 정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나머지 5종 ETF의 분배율은 약 0.5% 내외로 크지 않습니다. 기술주의 경우 분배금을 지급하기 보다 재투자를 통한 기업 성장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분배금이 지급된 5종 ETF는 모두 분기 배당입니다. KODEX 미국나스닥100 ETF의 경우 최근 TR형에서 PR형으로 변경하면서 분기 배당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분배금이나 분배율이 미국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선택 기준이 되기에는 맞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더욱이 최근 불거진 절세계좌에서도 배당금 원천징수 후 지급되고 추후 연금 지급 시  연금소득세도 부과되는 이중 과세 문제까지 고려하면 성장형 상품 투자가 더 좋은 선택이라 보여집니다.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 100 ETF 8종 수익율 비교

    마지막으로 8종 수익율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ETF 1개월 6개월 YTD 1년
    TIGER 미국나스닥100 -0,70% 19.96% -0.70% 36.12%
    TIGER 미국나스닥100TR(H) 0.63% 12.51% 0.63% 22.54%
    KODEX 미국나스닥100 -0.66% 20.17% -0.66% 36.50%
    KODEX 미국나스닥100(H) 0.68% 12.56% 0.68% 22.60%
    SOL 미국나스닥100 -0.71% 19.79% -0.71% -
    RISE 미국나스닥100 -0.66% 20.09% -0.66% 36.22%
    KIWOOM 미국나스닥100(H) 0.49% 12.49% 0.49% 23.06%
    ACE 미국나스닥100 -0.64% 20.04% -0.64% 36.09%

    수익율을 기간 별로 살펴보면 최근 1개월은 환헤지형 ETF 들의 성과가 더 좋은 모습입니다. 최근 급등한 환율이 어느 정도 내려간 영향으로 보여집니다. YTD(연초대비) 수익율은은 최근 1개월 수익율과 비슷합니다. 6개월 수익율, 1년 수익율을 보면 수수료(실질부담비용)이 가장 낮은 KODEX 미국나스닥100 ETF가 가장 좋고, 그 다음이 역시 수수료(실질부담비용)가 두번째로 낮은 RISE 미국나스닥100 ETF로 나타났습니다. 역시 동일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성과는 수수료(실질부담비용)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8종 ETF 중에서 자산총액이 가장 큰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실질부담비용이 낮은 KODEX 미국나스닥100 ETF, RISE 미국나스닥100 ETF, 그리고 환헤지형 중 최근 1개월 성과가 가장 좋은 KODEX 미국나스닥100(H) ETF 4종의 최근 1년간 성과를 그래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미국 나스닥 100 ETF 8종 수수료, 수익율, 분배금 등 비교 분석
    국내 미국 나스닥 100 ETF 8종 수수료, 수익율, 분배금 등 비교 분석

    최근 1년간 성과는 환헤지형인 KODEX 미국나스닥100(H) ETF 만 22% 정도일 뿐 나머지 3종 ETF의 수익율은 모두 36% 가 넘었습니다. 과거 데이터를 기준으로 미국 나스닥 100 지수의 연 평균 수익율이 13.6%(과거 20년 데이터 기준)인 것 대비 두배가 넘는 성과입니다.

    확실히 2024년 1년간 미국 기술주는 엄청난 상승을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개인연금저축펀드, IRP 등에서 장기 투자를 한다면? 역시 모범 답안 중 하나는 미국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좀 더 안정적인 투자자라면 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를 추종하는 ETF 혹은 관련 지수라 할 수 있는 미국 배당 다우존스를 추종하는 ETF 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경우 총 8종의 ETF가 있고, 이 중에서 다양한 관점에서 어떤 ETF 를 선택할지에 대해서는 앞서 정리했던 내용들을 토대로 선택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5년에도 2024년처럼 미국 기술 기업들이 높은 성과를 보여줄지는 알 수 없습니다. 또한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와 관세 및 보호무역 주의, 중국 AI 기술의 발전 등등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할 수 밖에 없습니다. 거기다 미래는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것이므로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런 점에서 적립식 투자 혹은 분할 매수, 분할 매도 전략이 유효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국내 상장 미국 S&P 500 ETF 14종 수익율, 수수료 비교 (2024.11.16) - TIGER 미국S&P500동일가중 ETF 포함

     

    국내 상장 미국 S&P 500 ETF 14종 수익율, 수수료 비교 (2024.11.16) - TIGER 미국S&P500동일가중 ETF 포함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또다른 불확실성도 생기고, 최근 급등 후 다시 조정 받는 기간인듯도 합니다.최근 파월의 금리 관련 발언으로 인해 미국 주식 시장이 전체적으로 하락하였습니다

    windlov2.tistory.com

    해외주식형 ETF 'TR 금지령' 과 KODEX 미국S&P500TR, KODEX 미국나스닥100TR ETF 운용사의 전략

     

    해외주식형 ETF 'TR 금지령' 과 KODEX 미국S&P500TR, KODEX 미국나스닥100TR ETF 운용사의 전략

    2025년 1월 17일자로 기재부에서 2025년 7월 1일부터 해외주식형 ETF의 TR형에 대한 운용을 금지하는 일명 "해외주식형 ETF TR 금지령"을 입법 예고했다는 내용이 보도되었습니다.관련기사: https://www.fnn

    windlov2.tistory.com

    2024년 나스닥 100 지수 편입 종목 변경: AI, 비트코인이 이끄는 투자 인사이트

     

    2024년 나스닥 100 지수 편입 종목 변경: AI, 비트코인이 이끄는 투자 인사이트

    2024년 나스닥 100 지수의 연례 재조정 결과가 발표되면서 AI, 비트코인, 그리고 공공 안전 기술이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액손

    windlov2.tistory.com

     

    절세 계좌 & 투자 전략에 대하여

    국내 상장 ETF 비교/분석

    해외 ETF 및 종목 비교/분석

    IRP/퇴직연금 안전자산 분석

    ETF 공부하기

    유익하셨나요? 공유 or 구독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