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F 이야기/국내투자 ETF

국내 조선업 ETF 비교: SOL 조선TOP3플러스, TIGER 조선TOP10, KODEX K-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HANARO Fn조선해운-수익률과 전략의 차이점은?

by 돌이아빠 2025. 5. 7.

Contents

    2025년 현재, 한국 조선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수주량은 팬데믹 직후의 고점 대비 다소 조정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고부가가치 선박 중심의 전략 전환과 친환경 기술 경쟁력 확보를 통해 시장 내 입지를 굳건히 지켜내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150만 CGT(58척)로 전월(377만 CGT) 대비 60%, 전년 동기(513만 CGT) 대비 무려 71%나 감소하는 등 글로벌 발주는 전반적으로 위축된 모습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장 침체 속에서도 한국 조선업은 82만 CGT(17척)를 수주하며 점유율 55%로 세계 1위를 탈환했습니다. 중국은 52만 CGT(31척)로 점유율 35%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습니다. 척당 환산 톤수 기준으로는 한국이 4.8만 CGT, 중국이 1.7만 CGT로 한국이 2.8배 높은 수준을 기록하면서 고부가가치 중심 수주 전략이 성과를 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1분기 누계 기준 수주량에서는 중국이 49%, 한국이 27%로 다소 격차가 있지만, 수주 잔량 측면에서는 한국이 3612만 CGT로 전 세계 점유율 23%를 유지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도 안정적인 수주 기반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187.43으로 보합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5년 전 대비 약 45% 상승한 수준으로 여전히 높은 선가 환경이 유지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국제 정세 역시 조선업에 유리한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탈중국화 흐름을 촉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 조선소들은 선진국 중심의 수주 확대 기회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이 중국산 선박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술력과 품질이 검증된 한국 조선 산업은 더 많은 선택을 받을 수 있는 구조적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탄소 배출 규제 강화와 친환경 선박 의무화 같은 국제 기준 강화도, LNG 운반선과 같은 고부가가치 선박을 앞세운 한국 조선업체들에 우호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국내 조선업 ETF 4종 비교

    이러한 환경 속에서 조선업에 대한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에게 ETF는 산업 전반에 효율적으로 분산 투자할 수 있는 수단이 됩니다. 국내에는 다양한 조선업 관련 ETF가 상장되어 있으며, 각 상품은 포트폴리오 구성과 전략적 초점에서 차별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전 글에서 다뤘던 조선업 ETF 4종 비교 내용을 바탕으로, 2025년 3월 기준 최신 수주 통계와 국제 정세를 반영해 업데이트하고, 각 ETF의 투자 전략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국내 조선업, 해운업 ETF 4종 기본 정보 비교

    국내 조선업 관련 ETF 네 종은 각각의 운용 규모, 비용 구조, 거래량 측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이러한 요소들은 투자자의 전략적 선택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HANARO
    Fn조선해운
    KODEX
    K-친환경조선
    해운액티브
    SOL
    조선TOP3
    플러스
    TIGER
    조선TOP10
    코드 441540 445150 466920 494670
    운용사 NH-Amundi 삼성 신한 미래에셋
    기초지수 FnGuide
    조선해운 지수
    FnGuide
    K-친환경선박지수
    FnGuide
    조선TOP3플러스
    iSelect
    조선TOP10지수
    상장일 2022.09.15 2022.11.15 2023.10.05 2024.10.22
    총보수(연) 0.4500% 0.5000% 0.4500% 0.3500%
    총보수비용
    (TER)
    0.5100% 0.5600% 0.5100% 0.3800%
    실부담비용 0.5233% 0.5920% 0.5416% 0.3935%
    순자산총액 747억 393억 8,326억 2,613억
    현재가
    (2025.05.02)
    ₩21,265 ₩20,195 ₩22,865 ₩18,415
    평균거래량 17만주 6만주 341만주 164만주
    연간 분배율 0.56% 0.94% 0.18% 0.27%
    최근 분배금 120원
    (2025.04.29)
    189원
    (2025.04.29)
    42원
    (2025.04.29)
    50원
    (2025.04.29)
    월배당 X X X X
    괴리율
    (60일 평균)
    -0.25% -0.02% -0.12% -0.16%
    추적오차율
    (60일 평균)
    0.59% 10.41% 0.49% 0.79%

    가장 먼저 주목할 만한 지표는 순자산 총액입니다.
    2025년 5월 기준으로 SOL 조선TOP3플러스 ETF는 약 8,326억 원의 순자산을 보유하며, 네 종 중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뒤를 이어 TIGER 조선TOP10 ETF2,613억 원, HANARO Fn조선해운 ETF747억 원, KODEX K-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ETF393억 원 수준으로 집계됩니다. 이는 시장에서의 관심도와 안정성 측면에서 중요한 지표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실질 부담 비용(총보수 및 기타 비용 포함) 역시 투자자들이 장기 보유 전략을 고려할 때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네 종 중에서는 TIGER 조선TOP10 ETF가 **0.3935%**로 가장 낮고, 그 뒤를 이어 HANARO, SOL, KODEX 순으로 비용이 높아지며, KODEX ETF의 실부담비용은 **0.5920%**로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비용 민감도가 높은 투자자라면 특히 유의할 부분입니다.

    또한 유동성을 가늠할 수 있는 일일 평균 거래량을 살펴보면, SOL 조선TOP3플러스 ETF가 하루 평균 340만 주 이상 거래되며 단연 돋보이는 수준입니다. TIGER ETF164만 주, HANARO ETF17만 주, KODEX ETF6만 주 수준으로 점점 낮아집니다. 유동성이 높을수록 시장가와 괴리 없이 손쉽게 매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는 단기·중기 투자자들에게 특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정리해보면

    • 운용 규모와 거래량에서 우위를 보이는 SOL 조선TOP3플러스,
    • 비용 효율성을 중시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TIGER 조선TOP10,
    •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운용과 안정적인 ETF를 원하는 투자자에게는 HANARO,
    • 특화된 테마 투자에 관심 있는 투자자에게는 KODEX

    가 각각의 선택지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본 정보만 보더라도 ETF별 특성과 투자 전략의 차이를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ETF 투자 선택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구성 종목을 살펴보겠습니다.

    국내 조선업, 해운업 ETF 4종 구성 종목 비교

    국내 조선업 ETF 4종은 모두 조선 산업을 기반으로 하지만, 포함된 종목의 산업군 구성을 살펴보면 ETF마다 지향하는 전략과 산업 노출 특성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납니다.

    No HANARO
    Fn조선해운
    KODEX
    K-친환경조선
    해운액티브
    SOL
    조선TOP3
    플러스
    TIGER
    조선TOP10
    구성종목 수 17 24 14 11
    1 한화오션
    (20.70%)
    HD현대중공업
    (8.86%)
    한화오션
    (22.06%)
    HD현대중공업
    (26.82%)
    2 HD현대중공업
    (17.57%)
    HD현대미포
    (8.79%)
    HD한국조선해양
    (21.23%)
    한화오션
    (25.91%)
    3 HD한국조선해양
    (13.72%)
    HD한국조선해양
    (8.70%)
    삼성중공업
    (17.44%)
    HD한국조선해양
    (19.94%)
    4 삼성중공업
    (13.58%)
    HD현대마린엔진
    (8.59%)
    HD현대미포
    (13.26%)
    삼성중공업
    (13.81%)
    5 HMM
    (10.34%)
    삼성중공업
    (8.13%)
    HD현대중공업
    (11.33%)
    HD현대미포
    (7.17%)
    6 HD현대미포
    (10.21%)
    한화엔진
    (8.09%)
    한화엔진
    (4.51%)
    한화엔진
    (2.44%)
    7 한화엔진
    (4.03%)
    한화오션
    (7.39%)
    HD현대마린솔루션
    (3.30%)
    HD현대마린엔진
    (1.34%)
    8 HD현대마린솔루션
    (2.93%)
    HD현대
    (6.63%)
    HD현대마린엔진
    (1.96%)
    성광벤드
    (0.81%)
    9 팬오션
    (2.15%)
    동성화인텍
    (6.22%)
    성광벤드
    (1.30%)
    동성화인텍
    (0.80%)
    10 HD현대마린엔진
    (1.74%)
    성광벤드
    (5.14%)
    동성화인텍
    (1.30%)
    태광
    (0.60%)

    먼저 HANARO Fn조선해운 ETF는 조선과 해운 산업을 균형 있게 담고 있는 종합형 구성입니다.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주요 조선 3사를 중심으로, HMM, 팬오션 등 대형 해운사와 HD현대마린엔진, HD현대마린솔루션 같은 조선 기자재 기업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조선업, 해운업, 기자재 산업이 혼합된 구조로, 산업 전반의 흐름을 폭넓게 추종하는 ETF라 할 수 있습니다.

    KODEX K-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ETF는 조선 기자재 및 친환경 관련 기업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한화오션 등 주요 조선사 외에도 HD현대마린엔진, 한화엔진, 동성화인텍, 성광벤드친환경 선박 부품·소재 기업들에 고르게 분산 투자하는 구조입니다. 특히 성광벤드, 동성화인텍은 LNG 선박용 배관 부품 및 보냉재 공급 기업으로, 친환경·에너지 운송 중심의 공급망 투자 전략이 반영된 ETF입니다.

    반면 SOL 조선TOP3플러스 ETF는 종목 수가 14개로 비교적 소수정예이며, 조선 3대 기업인 한화오션,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의 비중이 6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집중도가 높습니다. 나머지 구성 종목도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한화엔진 등 직접적인 조선 건조 또는 엔진 생산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어, 전통 조선 핵심 기업 중심의 집중 투자 전략이 특징입니다.

    마지막으로 TIGER 조선TOP10 ETF는 상위 10개 기업을 골고루 분산 구성하되,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HD한국조선해양 세 곳에만 약 70% 비중이 몰려 있습니다. 여기에 성광벤드, 동성화인텍, 태광 등 일부 기자재 기업을 포함해 산업의 수직 계열 구조를 반영하면서도, 조선 대형주 중심의 안정성과 테마 확장성을 동시에 노린 ETF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ETF별 산업군 분포 요약

    ETF 핵심 산업 구조 특성
    HANARO Fn조선해운 조선 + 해운 + 기자재 혼합 (산업 전반 추종)
    KODEX K-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기자재 비중↑ + 친환경 테마 중심 (부품·기술 기반)
    SOL 조선TOP3플러스 조선 3사 중심의 집중 전략 (전통 대형 조선주 특화)
    TIGER 조선TOP10 대형 조선 3사 중심 + 소수 기자재 기업 포함 (안정+분산 조합)
    이처럼 구성 종목의 산업군을 분석해 보면 각 ETF가 어떤 조선업 테마에 집중하고 있는지, 그리고 투자자 입장에서 어떤 흐름에 올라탈 수 있는지를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국내 조선업, 해운업 ETF 4종 수익율 비교

    마지막으로 4종 ETF의 수익율을 살펴보겠습니다. 국내 조선업의 호황기를 맞은 ETF들의 성과는 어떠한지 기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최근 1개월간의 수익율을 살펴보겠습니다.

    국내 조선업, 해운업 ETF 4종 수익율 비교 - 최근 1개월
    국내 조선업, 해운업 ETF 4종 수익율 비교 - 최근 1개월

    2025년 5월 2일 기준, 최근 1개월간의 조선업 ETF 수익률을 살펴보면, TIGER 조선TOP10 ETF가 24.59%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그 뒤를 이어 SOL 조선TOP3플러스 ETF가 22.45%, KODEX K-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ETF는 19.63%, HANARO Fn조선해운 ETF는 18.27%를 기록해 전체적으로 우상향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조선 3사 중심의 집중 투자 전략을 택한 ETF일수록 수익률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최근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확대대형 조선사 실적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연초대비 수익율(YTD) 입니다.

    국내 조선업, 해운업 ETF 4종 수익율 비교 - 연초 대비 수익율
    국내 조선업, 해운업 ETF 4종 수익율 비교 - 연초 대비 수익율

    2025년 5월 2일 기준, 연초 이후(YTD) 수익률을 기준으로 보면, SOL 조선TOP3플러스 ETF가 49.12%의 수익률로 가장 우수한 성과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TIGER 조선TOP10 ETF가 46.55%로 뒤를 잇고 있으며, KODEX K-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 ETFHANARO Fn조선해운 ETF는 각각 36.54%, 36.42%로 유사한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네 ETF 모두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강한 상승 흐름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대형 조선 3사에 집중 투자한 ETF일수록 수익률이 더 높게 나타난 점이 눈에 띕니다. 이는 2025년 상반기 조선업 실적 개선 기대감과 함께, 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가 실적에 선반영되었다는 평가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2025년 들어 조선업은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 확대와 친환경 선박 전환 수요, 그리고 국제 정세에 따른 수출 환경 개선 등 다양한 호재가 맞물리며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ETF를 통한 조선업 투자는 개별 종목 리스크를 줄이면서도 산업 전반의 흐름에 참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재 상장된 4종의 조선업 ETF는 각기 다른 전략과 초점을 갖고 있습니다.
    SOL 조선TOP3플러스TIGER 조선TOP10은 조선 대형주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2025년 들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들 ETF는 실적 회복이나 수주 확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고집중형 투자 전략을 선호하는 투자자에게 잘 맞습니다.

    반면, HANARO Fn조선해운KODEX K-친환경조선해운액티브는 해운 및 기자재 산업까지 포함하는 보다 분산된 산업 노출을 특징으로 합니다. 특히 KODEX는 친환경 조선 부품 기업의 비중이 높아, ESG 및 친환경 산업에 관심 있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순자산 규모, 일일 거래량, 실질 부담 비용 등도 ETF 선택 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유동성이 풍부하고 거래가 활발한 ETF는 매매 효율이 높고, 장기 보유 시 비용 구조도 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내가 무엇을 중시하며, 어떤 흐름에 올라탈 것인가를 스스로 정하는 일입니다.
    단기적인 상승 흐름을 추구할지, 장기적인 구조 변화에 주목할지에 따라 선택지는 달라집니다.
    같은 조선업 테마라도 각 ETF가 지향하는 방향은 분명히 다릅니다. 그 차이를 이해하고 내 투자 전략에 맞는 ETF를 선택하는 것, 그것이 성공적인 투자로 가는 첫걸음입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국내 조선업, 고부가가치 시장 선도하며 미래를 연다 (국내 조선업 대표 기업, ETF 소개도 함께)

     

    국내 조선업, 고부가가치 시장 선도하며 미래를 연다 (국내 조선업 대표 기업, ETF 소개도 함께)

    국내 조선업, 세계 시장에서 다시 빛나다한국 조선업은 오랜 시간 동안 세계 조선시장을 선도하며, 기술력과 품질 면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쌓아왔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중국 조선업의 양적

    windlov2.tistory.com

    조선 ETF 4종 완벽 비교: SOL 조선TOP3, TIGER 조선TOP10, KODEX 친환경선박, HANARO Fn조선해운 분석(조선업·해운업)

     

    조선 ETF 4종 완벽 비교: SOL 조선TOP3, TIGER 조선TOP10, KODEX 친환경선박, HANARO Fn조선해운 분석(조선업

    조선업은 한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산업으로, 글로벌 해운업과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조선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해운업은 글로

    windlov2.tistory.com

    방산 ETF 3종 비교: PLUS K방산, TIGER K방산&우주, SOL K방산 수익율, 구성종목, 투자전략 등

     

    방산 ETF 3종 비교: PLUS K방산, TIGER K방산&우주, SOL K방산 수익율, 구성종목, 투자전략 등

    들어가며세계 안보 지형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미중 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주요국들은 국방비를 대폭 증액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도-태평양 지역을 중

    windlov2.tistory.com

    PLUS 한화그룹주 ETF 분석: 조선·방산·우주항공·에너지 4대 산업군이 이끄는 성장 (0000J0)

     

    PLUS 한화그룹주 ETF 분석: 조선·방산·우주항공·에너지 4대 산업군이 이끄는 성장 (0000J0)

    2025년 현재, PLUS 한화그룹주 ETF(0000J0)는 여전히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 ETF는 한화그룹이 보유한 핵심 산업군 — 조선, 방산, 에너지, 우주항공 — 을 포괄적으로 담아낸 상품으로, 한국

    windlov2.tistory.com

     

    절세 계좌 & 투자 전략에 대하여

    국내 상장 ETF 비교/분석

    해외 ETF 및 종목 비교/분석

    IRP/퇴직연금 안전자산 분석

    ETF 공부하기

    유익하셨나요? 공유 or 구독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