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2

thumbnail IRP, 퇴직연금 안전자산 성과 비교(KODEX TDF2050액티브, TIGER 미국테크TOP10채권혼합, ACE 미국S&P500채권혼합액티브) 노후 연금 자금 확보를 목적으로 개인형 IRP 계좌나 퇴직연금을 DC형 계좌로 설정하여 직접 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자신 혹은 가족의 노후를 직접 준비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현상이라 생각됩니다. 저 또한 노후 연금을 위한 개인형 IRP 계좌를 운용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이러한 개인형 IRP, DC형 퇴직연금 계좌의 경우 의무적으로 30% 이상의 비중을 안전자산에 투자하도록 강제되고 있습니다. 특히 납입금액 기준이 아닌 평가액 기준으로 초기 70%만 투자했던 공격적인 자산이 좋은 성과를 얻어 평가액이 70%를 넘어서는 순간 더 이상 공격적인 자산에 투자를 할 수 없게 됩니다.이런 경우 울며 겨자먹기로 총 평가액 중 안전자산의 비중이 최소 30%를 초과하도록 투자한 자산을 리밸런싱을 하거나 납입액.. 2024. 9. 30.
thumbnail IRP,퇴직연금 안전자산 30% 공격형 ETF 6종 비교 (수익율, 수수료 등) 법적으로 강제되어 있는 안전자산 30%룰! 그 안에서도 조금 더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싶다면IRP, 퇴직연금의 경우 법적으로 투자금에 대하여 최소 30% 이상은 의무적으로 안전자산에 투자하도록 정의되어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증권사에서 개설한 퇴직연금, IRP 계좌에서 투자할 수 있는 안전자산 중에서 은행 예금과 같은 누구나 알 수 있는 안전자산이 아닌 ETF 상품들 중에서 어떤 기준으로 안전자산으로 분류가 되는지, IRP, 퇴직연금에서 투자할 수 있는 안전자산으로 분류된 ETF 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IRP, DC 퇴직연금에서 투자 가능한 ETF에 대해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으로 분류하는 기준은?"근로자퇴직연금보장법 퇴직연금감독규정"에 보면 DC형(확정기여형) 퇴직연금 계좌 및 IRP 계좌에서.. 2024.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