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조된 급행버스 8146번 노선 폐지
급행버스: 특정 구간을 운행함에 있어 몇몇 정류장을 건너뛰거나 간선도로 등을 이용하여 일반 시내버스보다 빠른 운행을 위해 도입된 버스로서 기존 빨간색 광역버스가 아닌 파란색 간선버스를 말한다. 또한 이런 급행버스의 경우는 대부분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급행버스 8146번은 도봉(강북) - 강남을 빠르게 연결하기 위한 버스로서 상계주공 7단지에서 태릉을 거쳐 동부간선도로로 진입하여 성수대교를 넘어 신사 - 논현 - 강남을 잇는 노선이다. 급행버스 8146번은 출/퇴근 시간뿐 아니라 하루 종일 운행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
급행버스 8146번은 146번 노선(상계주공 7단지에서 동 1, 2로를 거쳐 영동대교를 넘어 삼성 - 선릉 - 역삼 - 강남을 잇는 노선)의 대체제가 아닌 보완제였다. 즉, 146번 노선은 특히 출/퇴근 시에 동 1, 2로와 테헤란로의 지체와 정체로 인하여 강북(도봉, 노원 등)에서 강남으로 가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선이 바로 급행버스 8146번이었는데 7월 11일자로 노선을 폐지하기로 했다고 한다.(노선을 신설한지 1년도 안됐다)
근데 그 이유가 참 궁색하다. 버스에 유인물 형태로 붙어 있는 안내문 내용은 8146번의 버스 노선 자체가 기존 146번 버스 노선과 겹치기 때문에 페지하기로 했단다. 이런 말도 안되는 변명이 있을까? 애초에 8146번을 만들때부터 146번의 노선은 존재하고 있었으며, 동일한 버스회사에서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즉, 겹치는 노선이라는 이유 자체가 변명 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나도 출/퇴근 시에(사실 퇴근시에는 이용해본적이 없다) 8146번을 자주는 아니지만 일주일에 2번 혹은 3번 정도는 이용을 해왔다. 그런 노선이 저런 황당한 이유로 폐지된다니 허탈할 뿐이다.
정확한 원인은 회사만 알겠지만, 대충 그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실 이용객이 없어 적자 노선이기 때문이라는게 핵심적인 이유지만)
1. 사전 연구 조사의 미흡
: 급행버스 이름은 좋지만, 사전에 어느 정도의 고객이 어떤 곳으로 집중되어 이동하게 되는지에 대한 조사가 너무 미흡하지 않았나 싶다. 물론 관련된 분야 종사자도 아니고 자세한 내막을 모르긴 하지만, 단순히 광역버스 3100번(포천 - 의정부 - 노원 - 동부간선 - 강남)을 견제하기 위해서 급조해서 만들어졌다는 느낌이 강하다.
: 일전에 3100번 버스가 시내버스 정류장에 서지를 못하는 경우를 몇번 봤다. ~카더라 통신에 따르면 바로 흥안운수의 횡포(?) 때문이었다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시내 운행에 대한 정식 허가를 받지 않아서 발생된 문제가 아닐까 싶긴 하다.
2. 긴 배차시간과 간선도로 진입 시간 그리고 강남 도착 시간
: 급행버스 8146번의 배차 간격은 차고지에서 30분 간격이라고 버스 기사가 확인해줬다. 하지만 도로 사정상 실제 배차 간격은 정말 들쭉 날쭉했고, 너무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참고로 146번의 배차 간격은 정확하지는 않지만 5분 정도이다.
: 또한가지 급행버스 8146번의 문제는 간선도로 진입을 노원구청, 중계역 등이 아닌 태릉입구로 잡았다는 점이다.
: 태릉입구역에서 간선도로로 진입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소비될 수 밖에 없다. 차들도 많을 뿐더러 북부간선쪽으로 나가기 위해서도 이쪽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 태릉에서 동부간선도로로 진입하는데만 20분 이상이 소요된적도 있었다.
: 광역버스 3100번의 경우는 그나마 중계역에서 진입하므로(중계역도 많이 밀리기는 비슷하지만 그렇게 오래 걸리지는 않는다) 상대적으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평균적으로 봤을 때 도봉에서 강남역까지 가는데 146번은 1시간 30분 이상 급행버스 8146번은 1시간 10분 이상, 광역버스 3100번은 40분 이상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3. 홍보 부족
: 그 어떤 홍보도 없었다. 어느날 갑자기 슬그머니 생겼고, 생뚱맞은 아니 말도 안되는 이유로 슬그머니 폐지된다고 한다.
: 급행버스에 대한 전략도 홍보도 없었던 차에 이용객이 없으니 폐지한다는 것. 참 우습다.
그래도 급행버스 3100번에 좌석이 없으면 자주 애용했던 노선이고, 웃지못할 아니 평생 경험하지 못할 신기한 경험도 하게 해준 노선인데 신설된지 몇개월만에 폐지된다니 아쉽긴 하다.
그 어떤 버스 노선이 버스기사가 노선을 착각해서 생뚱맞은 길로 갈 것이며, 운행중 위험천만한 유턴을 두번씩이나 할 것인가?
급행버스: 특정 구간을 운행함에 있어 몇몇 정류장을 건너뛰거나 간선도로 등을 이용하여 일반 시내버스보다 빠른 운행을 위해 도입된 버스로서 기존 빨간색 광역버스가 아닌 파란색 간선버스를 말한다. 또한 이런 급행버스의 경우는 대부분 출/퇴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급행버스 8146번은 도봉(강북) - 강남을 빠르게 연결하기 위한 버스로서 상계주공 7단지에서 태릉을 거쳐 동부간선도로로 진입하여 성수대교를 넘어 신사 - 논현 - 강남을 잇는 노선이다. 급행버스 8146번은 출/퇴근 시간뿐 아니라 하루 종일 운행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
급행버스 8146번은 146번 노선(상계주공 7단지에서 동 1, 2로를 거쳐 영동대교를 넘어 삼성 - 선릉 - 역삼 - 강남을 잇는 노선)의 대체제가 아닌 보완제였다. 즉, 146번 노선은 특히 출/퇴근 시에 동 1, 2로와 테헤란로의 지체와 정체로 인하여 강북(도봉, 노원 등)에서 강남으로 가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선이 바로 급행버스 8146번이었는데 7월 11일자로 노선을 폐지하기로 했다고 한다.(노선을 신설한지 1년도 안됐다)
근데 그 이유가 참 궁색하다. 버스에 유인물 형태로 붙어 있는 안내문 내용은 8146번의 버스 노선 자체가 기존 146번 버스 노선과 겹치기 때문에 페지하기로 했단다. 이런 말도 안되는 변명이 있을까? 애초에 8146번을 만들때부터 146번의 노선은 존재하고 있었으며, 동일한 버스회사에서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즉, 겹치는 노선이라는 이유 자체가 변명 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나도 출/퇴근 시에(사실 퇴근시에는 이용해본적이 없다) 8146번을 자주는 아니지만 일주일에 2번 혹은 3번 정도는 이용을 해왔다. 그런 노선이 저런 황당한 이유로 폐지된다니 허탈할 뿐이다.
정확한 원인은 회사만 알겠지만, 대충 그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실 이용객이 없어 적자 노선이기 때문이라는게 핵심적인 이유지만)
1. 사전 연구 조사의 미흡
: 급행버스 이름은 좋지만, 사전에 어느 정도의 고객이 어떤 곳으로 집중되어 이동하게 되는지에 대한 조사가 너무 미흡하지 않았나 싶다. 물론 관련된 분야 종사자도 아니고 자세한 내막을 모르긴 하지만, 단순히 광역버스 3100번(포천 - 의정부 - 노원 - 동부간선 - 강남)을 견제하기 위해서 급조해서 만들어졌다는 느낌이 강하다.
: 일전에 3100번 버스가 시내버스 정류장에 서지를 못하는 경우를 몇번 봤다. ~카더라 통신에 따르면 바로 흥안운수의 횡포(?) 때문이었다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시내 운행에 대한 정식 허가를 받지 않아서 발생된 문제가 아닐까 싶긴 하다.
2. 긴 배차시간과 간선도로 진입 시간 그리고 강남 도착 시간
: 급행버스 8146번의 배차 간격은 차고지에서 30분 간격이라고 버스 기사가 확인해줬다. 하지만 도로 사정상 실제 배차 간격은 정말 들쭉 날쭉했고, 너무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참고로 146번의 배차 간격은 정확하지는 않지만 5분 정도이다.
: 또한가지 급행버스 8146번의 문제는 간선도로 진입을 노원구청, 중계역 등이 아닌 태릉입구로 잡았다는 점이다.
: 태릉입구역에서 간선도로로 진입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소비될 수 밖에 없다. 차들도 많을 뿐더러 북부간선쪽으로 나가기 위해서도 이쪽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 태릉에서 동부간선도로로 진입하는데만 20분 이상이 소요된적도 있었다.
: 광역버스 3100번의 경우는 그나마 중계역에서 진입하므로(중계역도 많이 밀리기는 비슷하지만 그렇게 오래 걸리지는 않는다) 상대적으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평균적으로 봤을 때 도봉에서 강남역까지 가는데 146번은 1시간 30분 이상 급행버스 8146번은 1시간 10분 이상, 광역버스 3100번은 40분 이상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3. 홍보 부족
: 그 어떤 홍보도 없었다. 어느날 갑자기 슬그머니 생겼고, 생뚱맞은 아니 말도 안되는 이유로 슬그머니 폐지된다고 한다.
: 급행버스에 대한 전략도 홍보도 없었던 차에 이용객이 없으니 폐지한다는 것. 참 우습다.
그래도 급행버스 3100번에 좌석이 없으면 자주 애용했던 노선이고, 웃지못할 아니 평생 경험하지 못할 신기한 경험도 하게 해준 노선인데 신설된지 몇개월만에 폐지된다니 아쉽긴 하다.
그 어떤 버스 노선이 버스기사가 노선을 착각해서 생뚱맞은 길로 갈 것이며, 운행중 위험천만한 유턴을 두번씩이나 할 것인가?
[관련 글타래]
2009/04/10 - 출근길 노선 이탈한 버스 두번의 유턴
2008/09/24 - 의정부~강남(양재)간 광역버스 3100번 이야기 Ep. 2 (환승할인편)
2008/08/21 - 의정부 <-> 강남(양재)간 유일한 광역버스 3100번 이야기
2008/07/17 - 강북(도봉구)에서 강남으로 출근하기
2008/11/25 - 광역버스 환승 할인 혜택 직접 체험해보니
2008/09/02 - 광역버스 환승할인 20일부터 실시!
2009/04/10 - 출근길 노선 이탈한 버스 두번의 유턴
2008/09/24 - 의정부~강남(양재)간 광역버스 3100번 이야기 Ep. 2 (환승할인편)
2008/08/21 - 의정부 <-> 강남(양재)간 유일한 광역버스 3100번 이야기
2008/07/17 - 강북(도봉구)에서 강남으로 출근하기
2008/11/25 - 광역버스 환승 할인 혜택 직접 체험해보니
2008/09/02 - 광역버스 환승할인 20일부터 실시!
'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법 대리투표? 전자투표인데? (60) | 2009.07.24 |
---|---|
만들어 먹는 재미 골라 먹는 재미 샤베트 틀 (43) | 2009.07.20 |
급조된 급행버스 8146번(노원 - 강남) 노선 폐지 (37) | 2009.07.10 |
요즘의 상태를 잘 설명해주는 그림 한장 (40) | 2009.06.25 |
예비군 4년차, 훈련가는 길: 남편님! 자립하세요!! (67) | 2009.06.02 |
시원한 노래하는 분수 구경하세요~ (48) | 2009.05.27 |
146,
3100,
8146,
급행버스,
노원구청,
대중교통,
도봉면허시험장,
돌이아빠,
동부간선도로,
리뷰,
사는이야기,
성수대교,
시내버스,
여행,
유턴하는 급행 버스,
이슈,
출근길 에피소드,
타운뉴스,
환승할인
2009.07.10 16:01 신고
2009.07.10 20:08 신고
늘 앉아서 갈 수도 있었고 아쉬울 따름입니다.
2009.07.10 17:33 신고
그나저나 울 돌이아빠님, 큰거 하나 당첨되신 거 축하드립니다.
아시죠? 무슨 이야기인지. 위드블로그에서 그...
신청했다가 낙방한 저는 부러울 뿐이고. =.=a
2009.07.10 20:09 신고
아하 운이좋았네요 흐......
2009.07.10 21:11
2009.07.13 08:11 신고
2009.07.10 21:49 신고
자주 이용하던 사람에게는 아쉽기만 할뿐이지요
거기에 돌이아빠님에게 재미난 포스팅 거리도 제공했던 놈이였으니. ㅋㅋㅋ
2009.07.13 08:12 신고
2009.07.10 22:23 신고
2009.07.13 08:17 신고
특히나 요즘들어 퇴근길에 강남에서 버스 한번 타면 교보타워 사거리 빠져나가는데 족히 30분은 걸리더군요 >.<
2009.07.10 23:39 신고
2009.07.13 08:17 신고
2009.07.11 09:43 신고
주말에 좋은 계획 있으시나요?
행복하고 즐거운 주말 맞이하세요.
화이팅~!
2009.07.13 08:31 신고
주말 즐겁게 보냈습니다. 틈나는대로 포스팅을 ㅎㅎㅎ
2009.07.12 01:10 신고
하지만..... 30분 간격이면 다행이죠..
대전에는 2~3시간 간격으로 다니는 버스도 있답니당.ㅎㅎㅎ
2009.07.13 08:32 신고
대전광역시인데요???? 헉스 2~3시간 ㅡ.ㅡ;;; 고속버스도 아니고 시외버스도 아닌 시내버스가요?/?
2009.07.13 10:04 신고
제가 2~3시간있는건 마을버스라고 해서
대전에서 대전외곽으로 가는 버스를
말하는 겁니다...
대전- 일반,좌석버스가 동일 요금입니다.ㅎ
또한 일반,좌석버스라는 표현 자체가 없어요.
대전에서는 시내버스.마을버스.도시철도 이렇게 ...
좀 바꾸었어요./...
2009.07.13 13:07 신고
예전에 대전에는 파견근무 때문에 두세번(각각 3~5개월 정도) 다녀왔었는데 대중교통은 타 본적이 없어서요 흐...
2009.07.12 09:52 신고
시민들을 위해 세심한 배려가 아쉬운 부분이 많습니다.
2009.07.13 08:32 신고
8천번대가 모두 출/퇴근용 급행버스로 알고 있는데 이용율이 얼마나되는지 사뭇 궁금해지는 순간이었습니다.
2009.07.13 13:05 신고
=ㅅ=; 걸리는 시간은..뭐..=ㅅ=;.. 그닥 감동적이지 않은 노선 배정이랄까요?
동간에 자동차 전용도로가 있는 것도 아니고 영동대교 북단 크리만 아니면 나름 넘어가는데 문제도 없기에.. 이용을 안하게 되는거 같습니다.ㅋ
2009.07.13 22:44 신고
글쵸 동부간선에 전용 차선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래도 요즘 동 1,2로 사정이 많이 좋아졌더라구요. 차가 줄어들었는지.
그래도 146번은 너무 오래 걸려서 >.<
2009.07.13 23:08 신고
2009.07.17 23:29 신고
2009.07.14 06:00 신고
헷갈리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2009.07.14 22:23 신고
물론 짠 하고 나타났던 8146번이 짠하고 사라지긴 했지만.
2009.07.15 09:48
자주 애용하던 버스가 없어져 버리면 정말 불편하죠...
저 같은 경우 버스가 없어지진 않았지만 노선이 변경 되는 바람에 좀 불편했던적이 있네요...^^
2009.07.15 22:59 신고
노선이 변경되면 역시 불편하죠. 역시 변화는 >.<
2009.08.11 23:20
2009.08.13 10:59 신고
2009.08.16 20:31
2009.08.17 08:20 신고
정말 안이하죠. 나름 여유있는 시간에는 편하게(배차 시간 맞춰서) 다녔었는데 많이 아쉽습니다.
2009.09.04 13:16
2010.09.13 06:34 신고
2010.09.13 03:24
2010.09.13 06:35 신고
2016.02.07 07:33
졌으면 꽤 많이 이용할 텐데요..